인식은 생명체의 작업 효과이며, 인식 내용에는 인식하는 자의 내적 구조가 반영되어 있다는 마투라나의 주장은 칸트의 형식 철학의 생물학적 변주다. 칸트는 시간과 공간이 세계의 속성이 아니라 인식 주체의 인식 형식이라고 주장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세계 자체에는 시간과 공간이 없다. 따라서 세계는 시작도 끝도 없다. 물자체는 무한이다.
영화 필름을 가지고 비유해보자. 무슨 영화를 예로 들까. 권투 영화 [록키]를 생각해보자. 영화의 내용은 필름 속에 담겨 있다. 이 필름 자체에는 시간이 없다.(영화를 찍는 것은 시간 순으로 찍어서 편집된 것이지만, 일단 완료된 상태의 물질적 필름은 무시간적이다. 시작에서 끝까지의 전 과정이 동시적으로 확정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가 영화를 보려면 이 필름을 시간 속에서 펼쳐내야, 즉 상영해야 한다. 우리가 만일 세계를 통째로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신이라면, 또는 감독이라면?), 우리는 영화 필름을 시간 속에서 상영하지 않고도 필름을 보는 순간 영화 전체의 내용이 머리 속에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완성된 필름(=세계) 자체는 시간으로부터 독립되어 있고, 필름을 가지고 영화를 보는 사람에게만 시간이라는 형식이 필요한 것이다.
그렇다면 무명의 록키가 아폴로와의 시범 경기를 통해 스타로 올라서는 이야기 자체 만을 놓고 보자. 이 이야기 자체는 확정적이며, 자기 완결적이다. 이 이야기를 시간적으로 풀어내면 로키가 싸구려 내기 권투를 하는 첫 장면에서 시작하여 지옥훈련을 통해 실력을 키우고 링 위에서 아드리안을 부르며 포옹하는 마지막 장면에서 끝난다. 우리는 분명 영화의 시작과 끝을 인식한다. 그리하여 영화 자체에도 시작과 끝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록키의 영화 필름을 가지고 있으면 [로키]는 이 우주의 어떤 시간, 어떤 공간에서도 재상영될 수 있다. 끝 없이 영원히 재상영 가능하다.
이것을 사람의 일생에 비유해 보자. 우리의 인생은 태어나서 죽음으로 끝난다. 죽으면 끝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우리의 삶 자체가 필름과 같다고 해보자. 필름 자체는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 그것이 시간 속에서 상영되는 한에서만 시작과 끝이 있다. 영화가 끝나도 필름은 그대로 남는다. 영화는 두 시간만에 끝나지만 필름 자체는 무한히 상영될 수 있다. 우리의 인생은 70년 만에 끝나지만, 우리의 실체(=필름) 자체는 영원할 수 있다. 실질적 검증 여부와는 별개로 최소한 논리적 가능성 면에서는 모순되지 않는다. 이것이 선승들이 우리의 삶에 시작도 끝도 없다고 한 이유일 것이다.
영화 필름을 가지고 비유해보자. 무슨 영화를 예로 들까. 권투 영화 [록키]를 생각해보자. 영화의 내용은 필름 속에 담겨 있다. 이 필름 자체에는 시간이 없다.(영화를 찍는 것은 시간 순으로 찍어서 편집된 것이지만, 일단 완료된 상태의 물질적 필름은 무시간적이다. 시작에서 끝까지의 전 과정이 동시적으로 확정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가 영화를 보려면 이 필름을 시간 속에서 펼쳐내야, 즉 상영해야 한다. 우리가 만일 세계를 통째로 순식간에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신이라면, 또는 감독이라면?), 우리는 영화 필름을 시간 속에서 상영하지 않고도 필름을 보는 순간 영화 전체의 내용이 머리 속에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완성된 필름(=세계) 자체는 시간으로부터 독립되어 있고, 필름을 가지고 영화를 보는 사람에게만 시간이라는 형식이 필요한 것이다.
그렇다면 무명의 록키가 아폴로와의 시범 경기를 통해 스타로 올라서는 이야기 자체 만을 놓고 보자. 이 이야기 자체는 확정적이며, 자기 완결적이다. 이 이야기를 시간적으로 풀어내면 로키가 싸구려 내기 권투를 하는 첫 장면에서 시작하여 지옥훈련을 통해 실력을 키우고 링 위에서 아드리안을 부르며 포옹하는 마지막 장면에서 끝난다. 우리는 분명 영화의 시작과 끝을 인식한다. 그리하여 영화 자체에도 시작과 끝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록키의 영화 필름을 가지고 있으면 [로키]는 이 우주의 어떤 시간, 어떤 공간에서도 재상영될 수 있다. 끝 없이 영원히 재상영 가능하다.
이것을 사람의 일생에 비유해 보자. 우리의 인생은 태어나서 죽음으로 끝난다. 죽으면 끝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우리의 삶 자체가 필름과 같다고 해보자. 필름 자체는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 그것이 시간 속에서 상영되는 한에서만 시작과 끝이 있다. 영화가 끝나도 필름은 그대로 남는다. 영화는 두 시간만에 끝나지만 필름 자체는 무한히 상영될 수 있다. 우리의 인생은 70년 만에 끝나지만, 우리의 실체(=필름) 자체는 영원할 수 있다. 실질적 검증 여부와는 별개로 최소한 논리적 가능성 면에서는 모순되지 않는다. 이것이 선승들이 우리의 삶에 시작도 끝도 없다고 한 이유일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