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식 교수가 중앙Sunday에 기고한 칼럼 '삶은 의미 있어야 하는가?'의 앞부분을 보자.
먼저 김 교수가 삶의 의미가 다의적이라는 것을 잊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도록 하겠다. 김 교수가 말하는 것은 가장 넓은 의미의 '인생의 의미'이다. 즉 인류 전체의 삶 일반에 대한 추상적이고 형이상학적 차원의 삶의 의미에 한정되는 말이다. 이 경우 의미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힘들게 여겨진다(물론 여기에 대해서도 삶의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길은 없지 않다. 생명의 의미와 존재의 의미가 그 후보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따로 다루겠다.) 하지만 삶의 의미를 묻는 또다른 방식으로 "내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가능하다.
추상적인 삶의 의미를 묻는 경우와는 달리 개별적인 삶의 의미를 묻는 경우에는, 삶의 의미의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예컨대 개인의 인생의 의미에 대해서는 가족, 사회, 역사, 인류, 생명의 의미와 같이 더 넓은 외부의 가치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더 큰 외부의 가치의 네트워크로부터, 마치 의미의 낙수이론처럼, 의미를 전달받는 것이 '논리적으로 가능'하다. 물론 김 교수도 이 정도는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많은 독자들은 이렇게 오해할 것이다. 인류 일반에 대해 삶의 의미를 말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면, 개인의 삶의 의미를 말하는 것도 무의미할 것이다, 라고. 아니, 사실은 이 둘을 구별해서 말하는 건지 아닌지도 대부분의 독자들은 알아차리지 못할 것이다. 그저 '아, 비트겐슈타인이란 유명 철학자가 삶의 의미라는 질문은 논리적으로 볼 때 말이 안 되는 소리라고 했다는 거지"하는 정도로 결론만 취해 갈 것이고 어디가서 누가 삶의 의미에 대해 말하려고 하기만 하면 "야, 삶의 의미라는 건 말이야 질문 자체가 성립하지 않아. 넌센스란 말이지"라고 상대방의 말을 자를 것이다.
"네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해 "내 인생의 의미는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라고 답하는 것은 전혀 동어반복이 아니다. 우리의 생활 속에서 충분히 유의미하게 사용될 수 있는 말이다. 바늘 끝 위에 몇 명의 천사가 춤추느냐를 따지는 것과 다르다. 줄리언 바지니는 인생의 의미가 논리적으로 무의미하다는 주장을 철지난 논리실증주의와 일상언어학파의 잔재로 비판하면서, 인생의 의미의 여러 의미 가운데, "그것은 내게 아주 많은 것을 의미해"에서처럼 "중요한 가치"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의미는 논리적으로 무의미하지 않다고 반박한 바 있다. 인생은 '내게' 아주 많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인생은 '우리에게' 아주 많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 논의는 줄리언 바지니의 <<빅 퀘스천>>, 211-213쪽 <붉은 청어> 참조) 심지어 인류 전체의 일반적 삶의 의미가 불가능하더라도, 개별적인 삶의 의미는 가능할 수 있다.
물론 논리실증주의자나 일상언어학파가 부정한 의미는 이런 개인적 차원의 의미가 아니라 형이상학적인 의미일 것이고, 김대식 교수가 말한 의미도 형이상학적 의미에 가깝다고 봐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형이상학적 차원의 의미가 아닌 개인적 차원의 의미를 추구하는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개별적 삶의 의미는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밝힐 필요가 있다. 형이상학적 수준의 의미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루기로 한다.
'책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은 왜 존재하는가?>> 훑어보기 (0) | 2013.06.25 |
---|---|
김대식 교수의 '삶은 의미 있어야 하는가?'라는 주장에 대해 2 (0) | 2013.04.17 |
깊이에의 강요, 의미에의 강요 (0) | 2013.02.19 |
비트겐슈타인 - The Duty of Genius (0) | 2013.02.18 |
이성의 예술가로서의 철학자 (0) | 201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