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주의적 관점에서 삶의 의미가 삶 자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생명을 둘러싼 외부의 상위체계 속에서 생명의 용도, 쓰임에 대한 유의미한 맥락화 논리를 찾아내야 한다. 의미는 더 넓은 가치의 네트워크 속으로 자기를 초월하는 것이라는 노직의 전제에서 볼 때 생명의 바깥은 물질적 우주다(좀더 세분화하면 '생명-생태계-우주-존재'로 넓어진다). 따라서 논리적으로 볼 때 생명의 의미는 물질적 우주 (혹은 존재) 속에 있다는 가설을 세워볼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약간의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우리의 상식적 관점에서는 생명과 생명을 둘러싼 물질적 우주를 대비했을 때 물질보다는 생명이 가치가 있다고 보기 때문에 물질적 우주가 생명의 의미가 될 수 있느냐가 의심스러워지기 때문이다. 노직의 유기적 통일성을 가치로 정의했을 때 생명이 생명을 제외한 우주보다 유기적 통일성이 더 높기 때문에 더 가치있다고 보는 것이 옳다. 그러면 어떤 것이 삶의 의미가 되기 위해선 그것의 가치가 삶보다는 크거나 최소한 같아야 하는데, 우주는 물질이기 때문에 생명보다 더 가치있다고 말하는 것은 분명 어색하게 느껴질 뿐 아니라 논리적으로도 오류가 된다.


이 난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이런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정확히 말하면 이것은 난점은 아니고 난점인 것처럼 착시를 불러일으킨 것이다). 어떤 것이 삶의 의미라고 할 때 그것은 단순히 삶의 바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즉 초월이 아니라 포월이다. 애초부터 '의미는 더 넓은 가치의 네트워크 속으로 자기를 초월하는 것'이라는 정의에 따르면 의미는 초월적 외부와의 관계가 아니라 포월적 상위체계와의 관계였던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의미가 세계의 '외부'에 있다고 본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은 오류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의미는 세계의 외부가 아니라 더 넓은 세계 속에 있기 때문이다. '세계의 외부'라는 표현은 '세계'를 둘러싸고는 있지만 세계 자체는 포함하지 않는 것, 즉 세계의 여집합으로서의 외부를 배제하지 않으므로 부정확하다. 더 넓은 세계는 대상이 되는 세계를 포함한 더 큰 어떤 것이다. 따라서 의미는  외부에 있는 게 아니라, 상위 체계에 있다. 예를 들어 내 인생의 의미를 가족이나 사회나 국가에 둔다고 할 때, 가족, 사회, 국가는 나를 배제한 외부가 아니라 나를 포함한 더 큰 세계, 즉 상위 체계이다. 


마찬가지로 생명의 의미가 우주에 있다고 할 때 이 우주는 생명을 배제한 물질적 우주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포월하는 우주를 말해야만 했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초두에서 어색하게 느꼈던 비교, 즉 생명이 더 가치있냐 물질적 우주가 더 가치있냐의 질문은 의미를 묻는 질문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생명의 의미는 물질적 우주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포월하는 우주 속에 있다. 따라서 앞서의 난점은 실제로 난점이 아니라, 우리가 우주라는 말에서 기계적으로 생명을 배제한 '물질적 우주'를 떠올렸기 때문에 발생한 착시였을 뿐이다.


물론 이런 방식의 의미 분석에 대해, 정의상(by definition) 생명의 의미가 생명을 포함한 우주 속에 있다는 빤한 얘기를 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이것은 어쩌면 우리의 일상 언어나 사유가 이러한 경계 부근에서 활동한 일이 별로 없기 때문일 수 있다. 왜냐하면 내 인생의 의미는 가족에게 있다는 표현도 논리적으로 분석하면 의미의 정의상 빤한 얘기일 수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분석명제가 아닌 종합명제인 것처럼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어찌됐든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생명의 의미는 (생명을 포함한) 우주 속에 있다는 가설이 노직의 유기적 통일성이라는 가치론과 더 큰 가치의 네트워크 속으로의 자기초월이라는 의미론으로부터 논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히 드러난 것 같다. 즉 논리적으로는 삶의 의미는 삶 자체가 아니라, 삶을 포월하는 우주 또는 존재 속에 있다고 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단 이것만으로도 삶의 의미가 삶 자체라는 동어반복의 쳇바퀴를 빠져나오는 데는 '철학적으로는' 성공했다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삶의 의미가 우주 속에 혹은 존재 속에 있다는 말의 '실질적' 의미는 무엇일까?

Posted by 깊은생각
,